인사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은

  세계경제는 연평균 3.5% 내외의 성장률을 보이는 저성장의 덫에 갇혀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사물 인터넷
,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신흥 기술들과 이들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 수요가 창출된다면,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현재의 경제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전문가들의 시각도 비슷합니다. 개방형 혁신과 융합이 확대되면 새로운 역동적 경제와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새로운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에서는 새로운 시장개발을 위한 수요 측면에서의 정부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국가의 정책적 시각과 접근법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저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ACAD)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혁신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정부 뿐 아니라 민간 각 분야 리더들이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미래 지향적인 시각과 새로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재교육의 장입니다. 국가정책과정은 1971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최고위 재교육 과정으로 개설된 이후 지금까지 그 시대의 가장 앞서가는 정책과 사회의 화두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변화와 발전을 모색해 왔습니다. 스스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저희 국가정책과정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강사진으로부터의 수업과 여러 다양한 분야 리더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리더로서 성장할 기회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저희 행정대학원 교수진들은 국가정책과정이 그동안 배출한 3344명의 동문들과 더불어 여러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주임교수
이 석 원